응답 코드

요청 성공 시 HTTP 상태 코드 200과 함께 요청에 대한 응답 바디(response body)가 반환되고, API 요청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해당 오류의 원인을 codestatus, message로 이루어진 HTTP 상태 코드로 반환합니다.

아래는 실패한 API 요청의 예시입니다.

{
  "requestId": "09b709af-fbdb-436a-9903-68ea83798a38",
  "code": -20010,
  "status": 404,
  "message": "존재하지 않는 주문 입니다."
}

HTTP 상태 코드

카카오T 퀵/도보배송 API는 HTTP 상태 코드별로 API 상태 코드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문 관련

code status message Description
-20006 400 "올바르지 못한 주문입니다." 주문 요청 시 입력한 출발지/목적지 값이 올바르지 않음
-20001 400 "주소가 없거나, 찾지 못했습니다." 입력한 출발지/목적지의 주소나 위도 또는 경도값이 올바르지 않음
-20002 400 "도보 배송 가능 거리가 아닙니다." 도보 배송 요청 거리가 1 km 이상으로 설정됨
-20010 404 "존재하지 않는 주문 입니다." 존재하지 않은 주문 아이디로 요청함
-20013 400 "오더의 상태가 유효하지 않습니다." 변경할 수 없는 상태로 주문 상태 변경 요청함. (예시: 이미 취소한 주문에 대해서 취소 요청)
-20019 400 "좌표와 주소지가 5 KM 이상 차이납니다.” 입력한 출발지/목적지의 주소와 좌표 정보(각각의 출발지와 목적지의 위도/경도값)가 5 km 이상 차이가 남.
-30001 404 "기사를 찾을 수 없습니다." 해당 주문에 배정할 수 있는 기사가 없음
-50003 500 "서버에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내부 서버 오류
-50004 400 "지원하지 않는 배송 상품 크기 입니다." 지원하는 배송 상품 크기의 범위를 벗어남
-50006 400 "안전 배송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선택한 서비스가 안전 배송을 지원하지 않음

결제 관련

code status message Description
-60001 400 "빌링 필수 파라미터중에 없는 것이 있습니다." API 요청에 필요한 파라미터값이 전달되지 않음
-60002 400 "빌링 결제 타입이 올바르지 않습니다." 그룹에서 설정한 결제 방식과 다른 결제 방식을 사용함
-60003 400 "빌링 버티컬 코드가 유효하지 않습니다." 지원하지 않은 서비스의 코드를 사용함.
(예시: 비즈에서 지원하지 않는 PET 서비스의 아이디 사용)
-60004 400 "빌링 아이템이 유효하지 않습니다. 결제할 아이템이 유효하지 않음
-60005 400 "그룹이 해당 버티컬을 이용할 수 없습니다." 그룹 설정에서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한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 들어옴
-60006 400 "그룹에 할당된 카드가 없습니다." 그룹 설정에서 결제 시 사용할 카드를 등록하지 않음
-60007 400 "카드가 유효하지 않습니다." 결제하려는 카드가 사용할 수 없는 상태임
(예시: 휴면 상태인 카드)
-60008 400 "존재하지 않는 그룹입니다." 그룹 아이디값을 잘못 입력함
-60009 400 "해당 빌링 아이템을 이용할 수 없는 그룹입니다." 그룹 설정에서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한 서비스의 아이템 아이디를 전달받음
-60010 400 "미수 내역이 존재합니다." 미결제 내역이 존재함